Adobe Flash Player 다중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0-11-09

□ 개요
  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에 영향을 주는 다수의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[1]
   o 공격자는 웹 페이지 은닉, 스팸 메일, 메신저의 링크 등을 통해 특수하게 조작된 Flash파일이 
      삽입된 웹페이지나, 첨부 파일을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유포 가능
   o 낮은 버전의 Adobe Flash Player 사용으로 악성코드 감염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
      이용자의 주의 및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

□ 설명
  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 18개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함[1]
    - 메모리 손상으로 인한 코드실행 취약점을 해결 (CVE-2010-3654)[2]
    - 입력 값 검증 문제로 인한 크로스 도메인의 파일제한 정책을 우회 할 수 있는 취약점을 해결 
      (CVE-2010-3654)[3]
    - 메모리 손상으로 인한 코드실행 취약점을 해결 (ActiveX전용) (CVE-2010-3637)[4]
    - 정보노출 취약점을 해결 (매킨토시, 사파리브라우저 전용) (CVE-2010-3638)[5]
    - DoS 공격과 코드실행의 가능성이 있는 취약점을 해결 (CVE-2010-3639)[6]
    - 다중 메모리 손상으로 인한 코드실행 취약점을 해결
       * (CVE-2010-3640)[7]
       * (CVE-2010-3641)[8]
       * (CVE-2010-3642)[9]
       * (CVE-2010-3643)[10]
       * (CVE-2010-3644)[11]
       * (CVE-2010-3645)[12]
       * (CVE-2010-3646)[13]
       * (CVE-2010-3647)[14]
       * (CVE-2010-3648)[15]
       * (CVE-2010-3649)[16]
       * (CVE-2010-3650)[17]
       * (CVE-2010-3652)[18]
    - 라이브러리 로딩 취약점으로 인한 코드실행 취약점을 해결 (CVE-2010-3976)[19]

□ 해당 시스템
  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     - 윈도우, 매킨토시, 리눅스, 솔라리스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0.1.85.3 및 
        이전 버전

□ 해결방안
   o Adobe Flash Player 10.1.85.3 및 이전버전 사용자
     - Adobe Flash Player Download Center(http://get.adobe.com/kr/flashplayer/)에 
       방문하여 Adobe Flash Player 10.1.102.64 버전을 설치하거나 자동 업데이트를 이용하여 
       업그레이드
     - Adobe Flash Player 10.1.102.64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없는 경우 다음 사이트에 접속하여 
       Flash Player 10.1.102.64을 다운로드 후 설치
       * http://kb2.adobe.com/cps/406/kb406791.html

□ 용어 정리
   o Adobe Flash Player : Adobe社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웹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
      응용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

□ 기타 문의사항
   o 안드로이드용 Flash Player 보안업데이트는 언제 발표되나요?
     - 해당 보안업데이트의 발표 일정은 11월 10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.
  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: 국번없이 118

[참고사이트]
[1] http://www.adobe.com/support/security/bulletins/apsb10-26.html
[2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54
[3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36
[4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37
[5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38
[6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39
[7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0
[8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1
[9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2
[10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3
[11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4
[12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5
[13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6
[14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7
[15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8
[16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49
[17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50
[18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652
[19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0-3976
[20] http://www.adobe.com/downloads/updates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