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9-09-08
안녕하세요 호스트센터(주) 시스템관리부 시스템보안팀입니다. MS IIS FTP 서비스의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표되었으니, 조속히 패치하시기 바랍니다. 해당 시스템 운영하시는 고객분께서는 반드시 아래내용을 숙지하시고 업데이트를 실시 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: 02-6925-5044 담당자 : 김봉기 주임 □ 개요 o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IS(Internet Information Service) 5.0, 5.1, 6.0에서 동작하는 FTP서비스에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견됨[1,2,3] o 현재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코드가 공개되었으며 IIS는 국내에서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해당 서버 관리자는 보안 업데이트가 발표되기 전까지 주의를 요함 □ 영향을 받는 시스템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5.0 with Microsoft Windows 2000 SP4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5.1 with Windows XP SP2 and SP3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6.0 with Windows XP Service x64 Edition SP2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6.0 with Windows Server 2003 SP2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6.0 with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SP2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6.0 with Windows Server 2003 SP2 for Itanium-based Systems □ 영향을 받지 않는 시스템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7.0 o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7.5 □ 취약점 설명 o 마이크로소프트의 IIS FTP 서비스에 디렉터리 이름을 이용한 스택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이 존재[2,3] - FTP NLST(NAME LIST) 명령을 통해 특별하게 조작된 디렉터리 이름을 처리할 때 스택 오버플로우가 일어나며 이를 이용한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함 - 하지만 이러한 공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공격자가 FTP 계정에 있어 쓰기권한을 가지고 있어야함 □ 영향 o 만약 상기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한 경우 공격자는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, 데이터의 열람 및 수정, 삭제, 새로운 계정의 생성 등 공격시스템에 대해 완벽한 권한을 취할 수 있음 □ 임시 조치방법 o 신뢰되지 않은 익명 사용자에 대한 FTP 쓰기권한을 해제 ※ 익명사용자(Anonymous User)에 대해 쓰기권한이 기본적으로 주어져있지 않으나 관리자가 권한을 부여했을 경우 다음과 같이 처리 1. IIS 관리자를 실행 2. FTP 사이트에 대해 오른쪽 클릭 후 등록정보 클릭 3. ‘홈 디렉터리’ 탭에서 ‘FTP 사이트 디렉터리’ 항목의 쓰기를 해제 (그림은 윈도우즈 2000에 대한 예시)o FTP 사용자가 디렉토리 생성을 못하도록 NTFS 파일 시스템의 권한을 조정 ※ FTP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(기본 값: %systemroot%\inetpub\ftproot)에 대해 다음을 수행 1. 오른쪽 클릭 > 등록정보 > 보안 > 고급 > 사용권한 으로 이동 2. 사용자그룹을 선택하고 보기/편집을 클릭 3. ‘폴더 만들기 / 데이터 추가’를 해제 (그림은 윈도우즈 2000에 대한 예시) o FTP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중지 □ 용어 정리 o IIS(Internet Information Service): 인터넷정보서비스라 불리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를 사용하는 서버들을 위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 o FTP(File Transfer Protocol): 인터넷을 통해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, 그런 프로그램을 모두 일컫는 말 □ 기타 문의사항 o 보안업데이트는 언제 발표되나요? - MS의 공식 보안업데이트 일정은 발표되지 않음, 발표될 경우 KrCERT 홈페이지를 통해 신속히 공지할 예정입니다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: 국번없이 118 □ 참고사이트 [1]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advisory/975191.mspx [2] http://www.securityfocus.com/bid/36189/ [3] http://www.kb.cert.org/vuls/id/276653 참조 :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