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8-07-10
안녕하세요 호스트센터(주) 시스템관리부 시스템보안팀입니다. 7월 보안 업데이트를 공지 드립니다. 해당 시스템 운영하시는 고객분께서는 반드시 아래내용을 숙지하시고 업데이트를 실시 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: 02-6265-1108 담당자 : 김봉기 주임 [MS08-037] DNS 스푸핑(Spoofing) 가능 취약점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의 인터넷 트래픽을 스푸핑하여 변조가능 ※ 스푸핑(Spoofing) : 공격자가 자신의 비정상적인 정보(웹 사이트, IP주소, 이메일 주소)등을 정상적인 것처럼 속인 후 사용자가 이것을 이용 및 접근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시스템을 공격/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해킹기법 □ 설명 o 윈도우즈 DNS 클라이언트, 서버 모두에 스푸핑 취약점이 존재. o 취약한 DNS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대해서 공격자가 조작된 응답을 함으로써 정당한 인터넷 트래픽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음. o 관련취약점 : - DNS Insufficient Socket Entropy Vulnerability - CVE-2008-1447 - DNS Cache Poisoning Vulnerability - CVE-2008-1454 o 영향 : 스푸핑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2000 SP4 - Microsoft Windows XP SP2, SP3 -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, SP2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SP1, SP2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, SP2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for Itanium-based Systems SP1, SP2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8, x64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Vista, SP1 - Microsoft Windows Vista x64 Edition, SP1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8 for Itanium-based Systems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37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37.mspx [MS08-038] Windows Explorer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Windows Explorer에서 조작된 검색 결과 파일을 사용할 경우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생 ※ Windows Explorer : 윈도우 탐색기 o 공격자는 악의적인 웹페이지를 구축한 후 사용자가 방문하여 조작된 파일을 다운로드 및 열어보도록 유도하거나, 조작된 파일이 첨부된 이메일을 전송하여 첨부된 파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o 관련취약점 : - Windows Saved Search Vulnerability - CVE-2008-1435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Vista, SP1 - Microsoft Windows Vista x64 Edition, SP1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8, x64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8 for Itanium-based Systems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2000 SP4 - Microsoft Windows XP SP2, SP3 -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, SP2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SP1, SP2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, SP2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for Itanium-based Systems SP1, SP2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38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38.mspx [MS08-039] Outlook Web Access(OWA)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 획득 및 권한 상승 □ 설명 o 권한이 없는 공격자가 취약점을 이용해 OWA 사용자의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악용할 수 있는 크로스사이트스크립팅 취약점이 있음 ※ 크로스사이트스크립팅(XSS : Cross-Site Scripting) 취약점 : 이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과정 에서 웹브라우저로 입력되는 값 가운데 허용되지 않은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Outlook Web Access for Exchange Server Data Validation Cross-Site Scripting Vulnerability - CVE-2008-2247 - Outlook Web Access for Exchange Server Parsing Cross-Site Scripting Vulnerability - CVE-2008-2248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Exchange Server 2003 SP2 - Microsoft Exchange Server 2007, SP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39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39.mspx [MS08-040] SQL 서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 획득 및 권한 상승 □ 설명 o SQL 서버의 메모리 취약점으로 인하여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한 권한을 획득하여 악용할 수 있음 o 취약점을 이용하여 권한을 획득한 공격자는 SQL 서버에 프로그램 추가 설치, 관리자 권한의 임의 계정 생성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음 o 관련취약점 : - Memory Page Reuse Vulnerability - CVE-2008-0085 - Convert Buffer Overrun Vulnerability – CVE-2008-0086 - SQL Server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– CVE-2008-0107 - SQL Server Buffer Overrun Vulnerability – CVE-2008-0106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받는 소프트웨어 - SQL Server 7.0 SP4 - SQL Server 2000 SP4 - SQL Server 2000 Itanium-based Edition SP4 - SQL Server 2005 SP2 - SQL Server 2005 x64 Edition SP2 - SQL Server 2005 for Itanium-based Systems SP2 - Microsoft Data Engine(MSDE) 1.0 SP4 - Microsoft SQL Server 2000 Desktop Engine(MSDE 2000) SP4 - Microsoft SQL Server 2005 Express Edition SP2 - Microsoft SQL Server 2005 Express Edition with Advanced Services SP2 - Microsoft SQL Server 2000 Desktop Engine(WMSDE) on Windows 2000 SP4 - Microsoft SQL Server 2000 Desktop Engine(WMSDE) on Windows Server 2003 SP1, SP2 - Microsoft SQL Server 2000 Desktop Engine(WMSDE) on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, SP2 - Windows Internal Database(WYukon) SP2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SP1, SP2 - Windows Internal Database(WYukon) x64 Edition SP2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SP1, SP2 - Windows Internal Database(WYukon) SP2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8 - Windows Internal Database(WYukon) x64 Edition SP2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8 x64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40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8-040.mspx 참조 :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