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S 6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8-06-16

□ 6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(총 10종) 
 o 등급 : 긴급(Critical) 8 종, 중요(Important) 2 종 
 o 발표일 : 2018.6.13.(수) 
 o 업데이트 내용
제품군중요도영향KB번호
Windows 10, Server 2016, Edge긴급원격코드실행4284880 등 5개
Windows 8.1, Server 2012 R2긴급원격코드실행4284815 등 2개
Windows Server 2012긴급원격코드실행4284855 등 2개
Windows RT 8.1긴급원격코드실행4284815
Windows 7, Server 2008 R2긴급원격코드실행4284826 등 2개
Windows Server 2008긴급원격코드실행4230467 등 3개
Internet Explorer긴급원격코드실행4284826 등 11개
ChakraCore긴급원격코드실행-
Office중요원격코드실행3115197 등 23개
SharePoint Server, SharePoint Enterprise Server, Project Server중요권한상승4022190 등 3개
 o 참고사이트 - 한글 : 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- 영문 : 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1. 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110,CVE-2018-8111,CVE-2018-8175,CVE-2018-8210,CVE-2018-8213,CVE-2018-8225,CVE-2018-8227,CVE-2018-8229,CVE-2018-8231,CVE-2018-8236,CVE-2018-8251)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982,CVE-2018-1036,CVE-2018-8140,CVE-2018-8169,CVE-2018-8208,CVE-2018-8214,CVE-2018-8219,CVE-2018-8233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1040,CVE-2018-8205,CVE-2018-8218,CVE-2018-8226)  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201,CVE-2018-8211,CVE-2018-8212,CVE-2018-8215,CVE-2018-8216,CVE-2018-8217,CVE-2018-8221,CVE-2018-8235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ADV180012,CVE-2018-0871,CVE-2018-8121,CVE-2018-8207,CVE-2018-8209,CVE-2018-8234,CVE-2018-8239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 o 관련 KB번호   - 4284880, 4284860, 4284874, 4284819, 4284835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2. 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10,CVE-2018-8225,CVE-2018-8251)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36,CVE-2018-8169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1040,CVE-2018-8205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207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 o 관련 KB번호   - 4284815, 4284878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3.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10,CVE-2018-8225,CVE-2018-8251)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36,CVE-2018-8169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1040,CVE-2018-8205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207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 o 관련 KB번호   - 4284855, 4284846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4.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10,CVE-2018-8225,CVE-2018-8251)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36,CVE-2018-8169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1040,CVE-2018-8205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207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 o 관련 KB번호   - 4284815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5. 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25,CVE-2018-8251)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36,CVE-2018-8169,CVE-2018-8224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1040,CVE-2018-8205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ADV180012,CVE-2018-8207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 o 관련 KB번호   - 4284826, 4284867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6.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25)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36,CVE-2018-8169,CVE-2018-8224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1040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207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 o 관련 KB번호   - 4230467, 4294413, 4234459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7.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978,CVE-2018-8249,CVE-2018-8267)  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113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 o 관련 KB번호   - 4284826, 4230450, 4284815, 4230450, 4284880, 4284860, 4284874, 4284819, 4284835, 4284855, 4230450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8.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27,CVE-2018-8229,CVE-2018-8243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긴급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9. Offic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176,CVE-2018-8248)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244,CVE-2018-8245,CVE-2018-8247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246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o 중요도 : 중요  o 관련 KB번호   - 3115197, 3115248, 4011026, 4011186, 4018387, 4022151, 4022160, 4022169, 4022173, 4022174, 4022177, 4022179, 4022182, 4022183, 4022190, 4022191, 4022196, 4022197, 4022199, 4022203, 4022205, 4022209, 4022210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0. SharePoint Server, SharePoint Enterprise Server, Project Serv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(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)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252,CVE-2018-8254)  o 영향 : 권한상승  o 중요도 : 중요  o 관련 KB번호   - 4022190, 4022173, 4022210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