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8-04-12
□ 4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2종) o 등급 : 긴급(Critical) 9종, 중요(Important) 3종 o 발표일 : 2018.4.11.(수) o 업데이트 내용 o 참고사이트 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1. 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963, CVE-2018-1008, CVE-2018-100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87, CVE-2018-0892, CVE-2018-0957, CVE-2018-0960, CVE-2018-0964, CVE-2018-0968, CVE-2018-0969, CVE-2018-0970, CVE-2018-0973, CVE-2018-0974, CVE-2018-0975, CVE-2018-0998, CVE-2018-0971, CVE-2018-0972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979, CVE-2018-0980, CVE-2018-0990, CVE-2018-0993, CVE-2018-0994, CVE-2018-0995, CVE-2018-1003, CVE-2018-1004, CVE-2018-1010, CVE-2018-1012, CVE-2018-1013, CVE-2018-1015, CVE-2018-1016, CVE-2018-1019, CVE-2018-1023)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8-0890, CVE-2018-0966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8116, CVE-2018-0956, CVE-2018-0967, CVE-2018-097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109, 4093111, 4093119, 4093107, 4093112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2. 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8116, CVE-2018-0967, CVE-2018-0976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08, CVE-2018-100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87, CVE-2018-0957, CVE-2018-0960, CVE-2018-0968, CVE-2018-0969, CVE-2018-0970, CVE-2018-0973, CVE-2018-0974, CVE-2018-0975, CVE-2018-0971, CVE-2018-0972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1003, CVE-2018-1004, CVE-2018-1010, CVE-2018-1012, CVE-2018-1013, CVE-2018-1015, CVE-2018-101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114, 4093115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3.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08, CVE-2018-100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87, CVE-2018-0960, CVE-2018-0969, CVE-2018-0973, CVE-2018-0974, CVE-2018-0975, CVE-2018-0970, CVE-2018-0971, CVE-2018-0972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1003, CVE-2018-1004, CVE-2018-1010, CVE-2018-1012, CVE-2018-1013, CVE-2018-1015, CVE-2018-1016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8116, CVE-2018-0967, CVE-2018-097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122, 4093123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4.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8116, CVE-2018-0967, CVE-2018-0976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08, CVE-2018-100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87, CVE-2018-0957, CVE-2018-0960, CVE-2018-0968, CVE-2018-0969, CVE-2018-0973, CVE-2018-0974, CVE-2018-0975, CVE-2018-0970, CVE-2018-0971, CVE-2018-0972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1003, CVE-2018-1004, CVE-2018-1010, CVE-2018-1012, CVE-2018-1013, CVE-2018-1015, CVE-2018-101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114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5. 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08, CVE-2018-1038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87, CVE-2018-0960, CVE-2018-0969, CVE-2018-0970, CVE-2018-0973, CVE-2018-0974, CVE-2018-0975, CVE-2018-0971, CVE-2018-0972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1003, CVE-2018-1004, CVE-2018-1010, CVE-2018-1012, CVE-2018-1013, CVE-2018-1015, CVE-2018-1016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8116, CVE-2018-0967, CVE-2018-097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118, 4093108, 4100480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6.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1008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87, CVE-2018-0960, CVE-2018-0969, CVE-2018-0970, CVE-2018-0973, CVE-2018-0974, CVE-2018-0975, CVE-2018-0971, CVE-2018-0972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1003, CVE-2018-1010, CVE-2018-1012, CVE-2018-1013, CVE-2018-1015, CVE-2018-1016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8116, CVE-2018-0967, CVE-2018-097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478, 4093224, 4091756, 4093227, 4093257, 4093223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7.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Internet Explorer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메모리 정보가 노출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70, CVE-2018-0988, CVE-2018-0991, CVE-2018-0996, CVE-2018-0997, CVE-2018-1001, CVE-2018-1004, CVE-2018-1018, CVE-2018-1020, CVE-2018-8118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981, CVE-2018-0987, CVE-2018-0989, CVE-2018-100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118, 4092946, 4093109, 4093114, 4093119, 4093111, 4093107, 4093112, 4093123, 4088875, 4089187, 4088779, 4088876, 4088787, 4088786, 4088782, 4088776, 4088877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8. Offic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950, CVE-2018-1007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920, CVE-2018-1011, CVE-2018-1026, CVE-2018-1027, CVE-2018-1028, CVE-2018-1029, CVE-2018-103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 번호 - 4018362, 4018354, 4018357, 4018341, 4018339, 4018356, 4018355, 4018347, 4018359, 4011628, 4018350, 4018288, 4018319, 4011717, 4018353, 4018343, 4018344, 4018360, 4018330, 4018328, 4018311, 4018337, 4011719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9. SharePoint Server,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1037) o 영향 : 정보노출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 번호 - 4087371, 4089283, 4091346, 4089501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0. Visual Studio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Visual studio가 메모리의 콘텐츠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경우, 정보가 노출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1037) o 영향 : 정보노출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 번호 - 4087371, 4089283, 4091346, 4089501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1.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Edge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메모리 정보가 노출되는 취약점 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979, CVE-2018-0980, CVE-2018-0990, CVE-2018-0993, CVE-2018-0994, CVE-2018-0995, CVE-2018-1019, CVE-2018-1023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2.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: -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8-08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93110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제품군 중요도 영향 KB번호 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109 등 5개 Windows 8.1, Server 2012 R2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114 등 2개 Windows Server 2012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122 등 2개 Windows RT 8.1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114 Windows 7, Server 2008 R2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118 등 3개 Windows Server 2008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478 등 6개 Internet Explor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118 등 18개 Office 중요 원격코드실행 4018362 등 21개 SharePoint Server,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중요 원격코드실행 4018336 등 4개 Visual Studio 중요 정보유출 4087371 등 4개 ChakraCore 긴급 원격코드실행 - Adobe Flash Play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0931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