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S 12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7-12-13

□ 12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3종) 
o 발표일 : 2017.12.13.(수) 
o 등급 : 긴급(Critical) 4종, 중요(Important) 9종 
o 업데이트 내용
제품군중요도영향KB번호
Windows 10, Server 2016중요원격코드실행4053578 등 5개
Edge긴급원격코드실행4053578 등 5개
Windows 8.1, Server 2012 R2중요원격코드실행4054519 등 2개
Windows RT 8.1중요원격코드실행4054519
Windows Server 2012중요원격코드실행4054520 등 2개
Windows 7, Server 2008 R2중요원격코드실행4054518 등 2개
Windows Server 2008중요원격코드실행4052303 등 2개
Internet Explorer긴급원격코드실행4052978 등 9개
Office중요원격코드실행4011095 등 7개
SharePoint Enterprise Server 2016중요권한상승4011576
Exchange Server중요스푸핑4045655
ChakraCore긴급원격코드실행-
Adobe Flash Player긴급원격코드실행4053577
  o 참고사이트 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Windows 10, Server 2016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27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5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7-11899)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번호 - 4053578, 4053579, 4053580, 4053581, 4054517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Edge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19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8, 11889, 11893, 11894, 11895, 11905, 11908, 11909, 11910, 11911, 11912, 11914, 11918)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긴급   o 관련 KB번호 - 4053578, 4053579, 4053580, 4053581, 4054517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27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5)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번호 - 4054519, 4054522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27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5)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번호 - 4054519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27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5)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번호 - 4054520, 4054523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27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5)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번호 - 4054518, 4054521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27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5)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번호 - 4052303, 4053473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이용자가 Internet Explorer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887, 11906, 11919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6, 11890, 11894, 11895, 11901, 11903, 11907, 11912, 11913, 1193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긴급   o 관련 KB번호 - 4052978, 4053578, 4053579, 4053580, 4053581, 4054517, 4054518, 4054519, 4054520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Office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34, 11939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935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 번호 - 4011095, 4011277, 4011575, 4011590, 4011608, 4011612, 4011614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2016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공격자가 이용자 SharePoint 서버에 특수하게 조작된 요청을 보낼 경우, 접근 제한이 있는 콘텐츠 열람하는 것과 같은 권한상승이 허용되는 취약점  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936)   o 영향 : 권한상승  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 번호 - 4011576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악성 링크가 포함된 악성 메일로 스푸핑을 시도하여 이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리다이렉션하게 만들 수 있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11932) o 영향 : 스푸핑 o 중요도 : 중요   o 관련 KB 번호 - 4045655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Edge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919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89, 11893, 11894, 11895, 11905, 11908, 11909, 11910, 11911, 11930, 11912, 11914, 11916, 1191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  o 관련취약점 : -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7-42에 설명된 취약점  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o 중요도 : 긴급   o 관련 KB번호 - 4053577  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