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7-11-15
□ 11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2종) o 발표일 : 2017.11.15.(수) o 등급 : 긴급(Critical) 4종, 중요(Important) 7종, 보통(Moderate) 1종 o 업데이트 내용 o 참고사이트 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1178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47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768, 11791, 11803, 11831, 11833, 11842, 11844, 11849, 11850, 11851, 11853, 11880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27, 11836, 11837, 11838, 11839, 11840, 11841, 11843, 11845, 11846, 11858, 11861, 11862, 11866, 11870, 11871, 11873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7-11830, 11863, 11872, 11874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1308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41676, 4041689, 4041691, 4042895, 4048952, 4048953, 4048954, 4048955, 4048956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1178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47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768, 11831, 11842, 11849, 11850, 11851, 11853, 11880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1308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041687, 4041693, 4048958, 4048961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1178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47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768, 11831, 11842, 11849, 11850, 11851, 11853, 11880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1308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041693, 4048958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1178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47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768, 11831, 11832, 11842, 11849, 11850, 11851, 11853, 11880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1308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041679, 4041690, 4048959, 4048962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1178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47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768, 11831, 11832, 11835, 11849, 11851, 11852, 11853, 11880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1308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041678, 4041681, 4048957, 4048960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1178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47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831, 11832, 11835, 11849, 11851, 11852, 11853, 11880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1308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042723, 4046184, 4047211, 4048968, 4048970, 4049164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Internet Explorer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791, 11834, 11848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27, 11837, 11838, 11843, 11846, 11855, 11856, 11858, 11869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42895, 4047206, 4048952, 4048953, 4048954, 4048955, 4048956, 4048957, 4048958, 4048959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Offic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54, 11878, 11882, 11884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7-11877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 번호 - 2553204, 3162047, 4011197, 4011199, 4011205, 4011206, 4011220, 4011233, 4011242, 4011245, 4011247, 4011250, 4011262, 4011264, 4011265, 4011266, 4011267, 4011268, 4011270, 4011271, 4011276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2016, Project Server 2013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방문할 경우, 접근 제한이 있는 콘텐츠 열람과 같은 권한상승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76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보통 o 관련 KB 번호 - 4011244, 4011257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.NET Core, ASP.NET Cor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 링크를 클릭할 경우, 쿠키 및 인증 토큰 탈취로 인해 권한상승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11770, 11883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1187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8700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[참고사이트] [1] https://github.com/aspnet/announcements/issues/277 [2] https://github.com/aspnet/announcements/issues/278 [3] https://github.com/dotnet/announcements/pull/40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Edge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11791)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11836, 11837, 11838, 11840, 11841, 11843, 11846, 11858, 11861, 11862, 11866, 11870, 11871, 11873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7-11874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: -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7-33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48951, 4049179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제품군 중요도 영향 KB번호 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긴급 원격코드실행 4041676 등 9개 Windows 8.1, Server 2012 R2 중요 원격코드실행 4041687 등 4개 Windows RT 8.1 중요 원격코드실행 4041693 등 2개 Windows Server 2012 중요 원격코드실행 4041679 등 4개 Windows 7, Server 2008 R2 중요 원격코드실행 4041678 등 4개 Windows Server 2008 중요 원격코드실행 4042723 등 6개 Internet Explor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042895 등 10개 Office 중요 원격코드실행 2553204 등 21개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2016, Project Server 2013 보통 권한상승 4011244 등 2개 .NET Core, ASP.NET Core 중요 권한상승 - ChakraCore 긴급 원격코드실행 - Adobe Flash Play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048951 등 2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