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S 7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및 기타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7-07-12

□ 7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(총 11종)
 
 o 발표일 : 2017.07.12.(수)
 o 등급 : 긴급(Critical) 8종, 중요(Important) 3종
 o 업데이트 내용
제품군 중요도 영향 KB번호
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5339 등 8개
Windows 8.1, Server 2012 R2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2717 등 4개
Windows RT 8.1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2726 등 2개
Windows Server 2012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2718 등 4개
Windows 7, Server 2008 R2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2719 등 4개
Windows Server 2008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2746 등 15개
Internet Explor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5252 등 8개
Office, Office Services, Web Apps, Skype 중요 원격코드실행 2880514 등 19개
Exchange Server 중요 권한상승 4018588
.NET Framework 중요 서비스거부 4025338 등 4개
Adobe Flash Play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025376
 o 참고사이트   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  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  □ 기타 보안 업데이트    o 발표일 : 2017.06.27.(화)  o 업데이트 내용
제품군 영향 KB번호
Azure AD Connect 권한상승 4033453
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467, 8556, 8561, 8562, 8563, 8566, 8573, 8574, 8576, 8577, 8578, 8579,      8580, 8581, 8590)  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7-8495, 8592, 8599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8587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8463, 8565, 8584, 8588, 8589, 8595, 8596, 8598, 8601, 8603, 8604, 8605,      8606, 8607, 8608, 8609, 8610, 8617, 8619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0170, 8486, 8554, 8557, 8564, 8575, 8582)  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8602, 8611)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5344, 4025339, 4025338, 4025342, 4022714, 4022715, 4022727, 4022725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467, 8556, 8561, 8562, 8563, 8573, 8577, 8578, 8580, 8581, 8590)  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7-8495, 8592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8587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8463, 8565, 8588, 8589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0170, 8486, 8554, 8557, 8564, 8582)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2717, 4022726, 4025333, 4025336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467, 8556, 8561, 8562, 8563, 8573, 8577, 8578, 8580, 8581, 8590)  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7-8495, 8592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8587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8463, 8565, 8588, 8589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8486, 8554, 8557, 8564, 8582)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2726, 4025336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467, 8556, 8561, 8562, 8563, 8573, 8577, 8578, 8580, 8581, 8590)  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7-8495, 8592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8587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8463, 8565, 8588, 8589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0170, 8486, 8554, 8557, 8564, 8582)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2718, 4022724, 4025331, 4025343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467, 8556, 8563, 8573, 8577, 8578, 8580, 8581, 8590)  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7-8495, 8592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8587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8463, 8565, 8588, 8589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0170, 8486, 8557, 8564, 8582)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2719, 4022722, 4025337, 4025341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467, 8556, 8563, 8573, 8577, 8578, 8580, 8581, 8590)  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7-8495, 8592)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8587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8463, 8565, 8588, 8589) 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7-0170, 8486, 8554, 8557, 8564, 8582)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2746, 4022748, 4022887, 4022914, 4025240, 4025397, 4025398, 4025409, 4025497, 4025674, 4025872,      4025877, 4026059, 4026061, 4032955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이용자가 Internet Explorer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인증우회 취약점(CVE-2017-8592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8594, 8606, 8607, 8608, 8618)  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8602)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5252, 4025331, 4025336, 4025338, 4025339, 4025341, 4025342, 4025344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Office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569) 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7-0243, 8501, 8502, 8570)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중요    o 관련 KB 번호   - 2880514, 3191833, 3191894, 3191897, 3191902, 3191907, 3203459, 3203468, 3203469, 3203477, 3212224,      3213537, 3213544, 3213545, 3213555, 3213559, 3213624, 3213640, 3213657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URL 링크를 클릭할 경우, 악성 사이트로 redirect되어 권한상승이 발생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7-8559, 8560)  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7-8621)    o 영향 : 권한상승    o 중요도 : 중요    o 관련 KB 번호   - 4018588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.NET Framework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공격자에 의해 .NET Framework 구성요소에서 비정상적인 유효성 검사가 이루어질 경우, 서비스거부가 발생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7-8585)    o 영향 : 서비스거부    o 중요도 : 중요    o 관련 KB 번호   - 4025338, 4025339, 4025342, 4025344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  □ 설명  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    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7-21에 설명된 취약점   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   o 중요도 : 긴급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25376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  Azure AD Connect   □ 설명  o 이용자가 Azure AD(Active Directory) Connect에서 PASSWORD WRITEBACK 기능 활성화로 인해 관리자의 암호 변경을     허용하는 경우, 권한 상승이 발생하는 취약점    o 관련취약점 :   - 권한 상승 취약점(CVE-2017-8613)    o 영향 : 권한상승    o 관련 KB번호   - 4033453   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 o 참고사이트   -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4033453.aspx   □ 해결책 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  - 최신 버전 : Azure AD Connect 1.1.553.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