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MS 보안업데이트]2007년 1월 MS 월간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07-01-10

안녕하세요 호스트센터(주) 시스템관리부 시스템보안팀입니다. 


금번 1월 보안 업데이트를 요약정리해 드립니다. 해당 시스템 운영하시는 고객분께서는 반드시 아래내용을 숙지하시고 업데이트를 실시 하시기 바랍니다. 

문의 : 02-6265-1108 
담당자 : 김 봉기 

[MS07-001] MS Office 2003 브라질, 포루투갈어 문법검사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

□ 영향 
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  
□ 설명  
  o MS Office 2003의 브라질 및 포루투칼어 문법검사 기능에 원격코드 실행 가능 취약점 존재
  o 공격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악의적으로 꾸며진 웹사이트를 방문하게 하거나 악의적인 내용이 
    담겨 있는 이메일을 보내어 조작된 Office 문서에 접근하게 함. 
   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  o 관련취약점:Office 2003 Brazilian Portuguese Grammar Checker Vulnerability - CVE-2006-5574
 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
  o 중요도 : 중요

□ 해당시스템  
 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
    - Microsoft Office 2003 SP2 (브라질, 포루투갈 버전)
    - Microsoft Office Multilingual User Interface 2003 SP2
    - Microsoft Project Multilingual User Interface 2003 SP2
    - Microsoft Visio Multilingual User Interface 2003 SP2
    - Microsoft Office Proofing Tools 2003 SP2
 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
    - Microsoft Office 2000
    - Microsoft Office XP
    - Microsoft Office 2007
    - Microsoft Office v.X for Mac
    - Microsoft Office 2004 for Mac
 
□ 해결책  
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□ 참조사이트 
 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7-001.mspx



 
[MS07-002] MS Excel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

□ 영향 
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  
□ 설명
  o 조작된 MS Excel 파일을 이용하여 취약점을 악용 가능
  o 공격자는 악의적인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유도하거나, 
    조작된 이메일을 전송하여 이메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함. 
   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
  o 관련취약점 :
    - Excel Malformed IMDATA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7-0027
    - Excel Malformed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7-0028
    - Excel Malformed String Vulnerability - CVE 2007-0029
    - Excel Malformed Column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7-0030
    - Excel Malformed Palette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7-0031
 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  o 중요도 : 긴급

□ 해당시스템  
 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
    - Microsoft Excel 2000 on Office 2000 SP3   
    - Microsoft Excel 2002 on Office XP SP3
    - Microsoft Excel 2003, Viewer 2003 on Office 2003 SP2 
    - Microsoft Works Suite 2004, 2005
    - Microsoft Excel 2004 for Mac
    - Microsoft Excel v. X for Mac
 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
    - Microsoft Excel 2007 on Microsoft Office 2007
    - Microsoft Works Suite 2006

□ 해결책  
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□ 참조사이트 
 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7-002.mspx



 
[MS07-003] MS Outlook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

□ 영향 
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  
□ 설명  
  o 조작된 Outlook 파일에 의하여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한 취약점 존재
  o 이용자가 관리자권한으로 Outlook을 사용 중 조작된 파일에 의한 공격이 성공하면 
   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
  o 관련취약점 : 
   - Microsoft Outlook VEVENT Vulnerability – CVE-2007-0033
   - Microsoft Outlook Denial of Service Vulnerability – CVE-2006-1305
   - Microsoft Outlook Advanced Find Vulnerability - CVE-2007-0034
 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
  o 중요도 : 긴급

□ 해당시스템  
 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
    - Microsoft Outlook 2000 on Office 2000 SP3   
    - Microsoft Outlook 2002 on Office XP SP3
    - Microsoft Outlook 2003 on Office 2003 SP2 
 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
    - Microsoft Outlook 2007 on Microsoft Office 2007
 
□ 해결책  
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□ 참조사이트 
 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7-003.mspx


 

[MS07-004] Vector Markup Language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

□ 영향 
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  
□ 설명  
  o 조작된 Vector Markup Language(VML)에 의하여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한 취약점 존재
   ※ VML : 인터넷상에서 화려한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웹 그래픽 언어
  o 공격자는 VML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에 대하여 버퍼오버플로우를 발생시켜 공격함. 
   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
  o 관련취약점 : VML Buffer Overrun Vulnerability - CVE-2007-0024
 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
  o 중요도 : 긴급

□ 해당시스템  
 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    - Microsoft Windows 2000 SP4
    - Microsoft Windows XP SP2
    -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
   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
   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for Itanium-based Systems
   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
 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
    - Microsoft Windows Vista

□ 해결책  
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□ 참조사이트 
 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7-004.mspx

참조 :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