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1-12-26
[MS11-087] Kernel-Mode Drivers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TrueType 글꼴파일이 포함된 문서나 웹페이지 등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TrueType Font Parsing Vulnerability - (CVE-2011-3402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Vista SP1,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87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87 [MS11-088] MS Office IME(중국어)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□ 설명 o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가 중국어 IME를 설치한 환경에서 권한상승이 될 수 있는 취약점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Pinyin IME Elevation Vulnerability - (CVE-2011-201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S Office 2010 서비스팩 0, 1 - MS Office 2010 서비스팩 0, 1 64-Bit - MS Office Pinyin SimpleFast Style 2010 (32Bit - 64Bit) - MS Office Pinyin New Experience Style 2010 (32Bit - 64Bit)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S Office 2003 서비스팩 3 - MS Office 2007 서비스팩 2, 3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88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88 [MS11-089] MS Office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워드파일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- Word Use After Free Vulnerability - (CVE-2011-1983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S Office 2007 서비스팩 2, 3 - MS Office 2010 서비스팩 0, 1 - MS Office 2010 서비스팩 0, 1 (64-Bit) - MS Office for Mac 2011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S Office 2003 서비스팩 3 - MS Office for Mac 2004 - MS Office for Mac 2008 - Open XML File Format Converter for Mac - MS 오피스 호환성팩 (워드, 엑셀, 파워포인트 2007 파일포멧 서비스팩 2, 3) - MS 오피스 워드뷰어 - MS Works 9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89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89 [MS11-090] ActiveX Kill Bits 누적 보안 업데이트 □ 영향 o ActiveX Kill Bit에 대한 누적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원격코드 실행이 가능한 ActiveX 에대한 Kill Bit 업데이트 o 관련취약점 : - Microsoft Time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- (CVE-2011-3397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Vista SP1,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**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**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**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※ **표시된 윈도우를 서버코어(Server Core)옵션으로 설치한 경우,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지 않음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0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0 [MS11-091] Microsoft Publisher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Publisher 파일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Publisher Function Pointer Overwrite Vulnerability - (CVE-2011-1508) - Publisher Out-of-bounds Array Index Vulnerablility - CVE-2011-3410 - Publisher Invalid Pointer Vulnerability - CVE-2011-3411 - Publisher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- CVE-2011-3412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S Office 2003 서비스팩 3 - MS Office 2007 서비스팩 2, 3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S Publisher 2010 서비스팩 0, 1 - MS Publisher 2010 서비스팩 0, 1 (64-Bit)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1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1 [MS11-092] Windows Media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(.dvr-ms) 파일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Windows Media Player DVR-MS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- (CVE-2011-3401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미디어센터 데이션 2005 서비스팩 3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서비스팩 2 64-bit - Windows Vista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2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2 [MS11-093] OLE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OLE개체가 포함된 파일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OLE Property Vulnerability - (CVE-2011-340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팩 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Vista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3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3 [MS11-094] 파워포인트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파워포인트 파일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PowerPoint Insecure Library Loading Vulnerability - (CVE-2011-3396) - OfficeArt Shape RCE Vulnerability - (CVE-2011-3413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S Office 2007 서비스팩 2 - MS Office 2010 32-Bit, 64-Bit - MS Office for Mac 2008 - MS 오피스 호환성팩 (워드, 엑셀, 파워포인트 2007 파일포멧 서비스팩 2) - MS 파워포인트 뷰어 2007 서비스팩 2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S 파워포인트 2003 서비스팩3 - MS 파워포인트 2007 서비스팩3 - MS 파워포인트 2010 서비스팩3 (32-Bit 64-Bit) - MS Office 2004 for Mac 2004 - Microsoft Office for Mac 2011 - Open XML File Format Converter for Mac - MS 오피스 호환성팩 (워드, 엑셀, 파워포인트 2007 파일포멧 서비스팩 3) - MS 파워포인트 뷰어 2007 서비스팩 3 - MS 파워포인트 뷰어 - MS 파워포인트 웹 App - MS Works9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4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4 [MS11-095] 액티브 디렉토리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공격자가 액티브 디렉토리에 로그인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실행파일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Active Directory Buffer Overflow Vulnerability - (CVE-2011-340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Vista SP1,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5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5 [MS11-096] 엑셀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엑셀 파일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Record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- (CVE-2011-3403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S Office 2003 서비스팩 3 - MS Office 2004 for Mac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S 엑셀 2007 서비스팩 2, 3 - MS 엑셀 2010 서비스팩 0, 1 (32-Bit, 64-Bit) - MS Office 2008 for Mac - MS Office for Mac 2011 - Open XML File Format Converter for Mac - MS 엑셀 뷰어 서비스팩 2 - MS 오피스 호환성팩 (워드, 엑셀, 파워포인트 2007 파일포멧 서비스팩 2) - MS 파워포인트 웹 App - MS Works9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6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6 [MS11-097] Windows Client/Server Run-time Subsystem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□ 설명 o 공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실행파일을 실행할 경우, 권한이 상승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CSRSS Local Privilege Elevation Vulnerability - (CVE-2011-3408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Vista SP1,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7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7 [MS11-098] Windows Kernel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□ 설명 o 공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취약점을 악용하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실행파일을 실행할 경우, 권한이 상승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Windows Kernel Exception Handler Vulnerability - (CVE-2011-2018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SP1,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8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8 [MS11-099] 인터넷 익스플로러 취약점 누적보안 패치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DLL 파일과 동일 경로에 존재하는 HTML 파일을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XSS Filter Information Disclosure Vulnerability - (CVE-2011-1992) - Internet Explorer Insecure Library Loading Vulnerability - (CVE-2011-2019) - Content-Disposition Information Disclosure Vulnerability - (CVE-2011-3404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-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-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0, 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0, 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0, 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1-099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1-09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