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orkstation Service 취약점 [MS06-070]을 이용하는 웜 감염 주의

2006-11-20

안녕하세요 호스트센터(주) 시스템관리부 시스템보안팀입니다. 


니다. 금번 11월 Workstation Service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. 해당 시스템 운영하시는 고객분 께서는 반드시 아래내용을 숙지하시고 업데이트를 실시 하시기 바랍니다. 

문의 : 02-6265-1108 
담당자 : 김 봉기 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 

□ 개요 

   Workstation Service 취약점 [MS06-070]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감염피해가 
   발생하여 주의필요. 
   이 취약점은 최근(2006.11.15)에 패치가 발표되었으므로, 다수의 사용자가 
   아직 패치적용을 하지않았을 것으로 추정됨.


□ 영향 

   o 패치가 안되어 있는 취약PC일 경우, 네트워크에 연결만 되어 있어도
     악성코드에 감염될수 있음.      

 
□ 예방방법

   o 최신 윈도우 업데이트 실시 


 ☞ 참고:  MS06-070 취약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된 악성코드 예 


   o 파일명: wincomm.exe

   o 전파 방법: 

      - Workstation Service 취약점 [MS06-070]
      - MS-SQL 암호 취약점 
       ※업데이트를 통하여 전파기법은 추가될수 있음.  
  
      
      ▶ 전파를 위한 공격 빈도 및 트래픽 발생률  

       - 공격 빈도: 분당 1836 회 공격 발생   
           참고:  Sasser.A     1000  회 
                     Bobax.C      5,524 회 
                    Welchia.B    2,400 회


   
       - Scan 트래픽 발생률: 64 byte X 1836 = 117,504 byte
  
       ※ 공격자의 명령전달 및 PC성능 조건에 따라서 결과값은 차이가 있을수도 있음

 
   o 감염 시 악성행위 

 
     - 파일 및 레지스트리변경 

         웜은 재 부팅시에도 계속 활동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파일 및 레지스트리를 생성함

 
      . 시스템 폴더에 wincomm.exe 생성
 
      . HKLM\SOFTWARE\Microsoft\WindowsNT\CurrentVersion\Winlogon\Userinit
                "시스템폴더"\wincomm.exe 등록


      . HKLM\SOFTWARE\Microsoft\Windows NT\CurrentVersion\Winlogon\Shell     
                "시스템폴더"\wincomm.exe 등록 
 

      . HKLM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Run
               Microsoft Windows Communicator for NT/XP   "시스템폴더"\wincomm.exe 등록 

 
      . HKCU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Run
               Microsoft Windows Communicator for NT/XP   "시스템폴더"\wincomm.exe 등록 
 

     - 악성 기능 
 
     - 명령전달 통한 원격 통제 

        * 원격 통제 사이트 및 채널 
            . 사이트: new.cheapdf.com (66.111.227.92)
            . 포트: TCP 4545
            . 채널: rbotv2

        * 명령 전달 통한 악성행위 

            . Scan 명령: 공격 IP 대역지정, Thread 지정, Delay 지정 등   
            . 키로깅 
            . Syn 공격 
            . HttpDoS 공격
            . 리모트 Shell 
 

   o 특이 사항: 감염 시 아래의 문자열을 보여주는 윈도우가 생성 
 
       To run this file you must use an Linux emulator.
       Error code: (-2394)
       Error discriptionL LLIBKCUF / File has remove his self.
 

   o 감염시 치료방법

      Step1. 작업관리자를 ("ALt+Ctrl+Del") 실행 시켜 프로세스 탭에서 wincomm.exe 제거   
      Stpe2. 시스템 폴더내에 생성된 wincomm.exe 파일 삭제
 
 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참조 :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