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MS 보안업데이트]2013년 8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

2013-08-19

[MS13-059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

 

□ 영향

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

□ 설명

   o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볼 경우, 원격코드를 
실행 시킬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Internet Explorer Process Integrity Level Assignment Vulnerability - CVE-2013-3186

    - EUC-JP Character Encoding Vulnerability - CVE-2013-3192

    - Internet Explorer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- CVE-2013-3184, CVE-2013-3187, 
CVE-2013-3188, CVE-2013-3189, CVE-2013-3190, CVE-2013-3191, CVE-2013-3193, CVE-2013-3194,
 CVE-2013-3199

  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   o 중요도 : 긴급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59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59
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 

 

 

 [MS13-060] Unicode Scripts Processor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


□ 영향

 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

□ 설명

   o OpenType 글꼴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문서나 웹 페이지를 
볼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Uniscribe Font Parsing Engine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- CVE-2013-3181

  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   o 중요도 : 긴급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60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60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 

 

 

 [MS13-061]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


□ 영향

 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


□ 설명

   o 사용자가 OWA(Outlook Web App)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파일을 미리보는 경우 Exchange 
서버에 있는 코드 변환 서비스의 보안 컨텍스트에서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Oracle Outside In Contains Multiple Exploitable Vulnerabilities ? CVE-2013-2393, CVE-2013-3776, 
CVE-2013-3781

  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   o 중요도 : 긴급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61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61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 

 

 

  [MS13-062] 원격 프로시저 호출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


□ 영향

 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


□ 설명

  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RPC 요청을 전송할 경우 권한이 상승되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Remote Procedure Call Vulnerability - CVE-2013-3175

   o 영향 : 권한 상승

   o 중요도 : 중요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62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62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 

 

 

 [MS13-063] Windows 커널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


□ 영향

 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


□ 설명

   o 공격자가 시스템에 로컬로 특수하게 조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권한 상승이 
허용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ASLR Security Feature Bypass Vulnerability ? CVE-2013-2556

    - Windows Kernel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ies ? CVE-2013-3196, CVE-2013-3197, CVE-2013-3198

   o 영향 : 권한 상승

   o 중요도 : 중요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63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63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 

 

 

 [MS13-064] Windows NAT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


□ 영향

 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서비스 거부 


□ 설명

  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ICMP 패킷을 Windows NAT 드라이버 서비스를 실행 중인 대상 서버에
 전송할 경우 서비스 거부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Windows NAT Denial of Service Vulnerability - CVE-2013-3182

   o 영향 : 서비스 거부

   o 중요도 : 중요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64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64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 

 

 

 [MS13-065] ICMPv6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


□ 영향

 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서비스 거부 


□ 설명

  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ICMP 패킷을 대상 시스템에 전송할 경우 서비스 거부를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ICMPv6 Vulnerability - CVE-2013-3183

   o 영향 : 서비스 거부

   o 중요도 : 중요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65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65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 

 

 

 [MS13-066] Active Directory Federation Services의 취약점으로 인해 정보 유출 문제점 


□ 영향

  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서비스 계정과 관련된 정보 노출


□ 설명

   o 공격자는 이 정보를 통해 기업 네트워크 외부에서 로그온을 시도할 수 있으며, 계정 잠금 
정책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 이로 인해 AD FS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계정이 잠길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
   o 관련취약점 :

    - Active Directory Federation Services Information Disclosure Vulnerability - CVE-2013-3185

   o 영향 : 정보 노출

   o 중요도 : 중요


□ 해당시스템

   o 참조사이트 참고

   -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66

    -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66



□ 해결책

  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